2025.10.22: 희토류 전략적 투자 분석: 지정학적 재편 시대의 희토류 시장

요약 보고: 2025년 이후 희토류의 전략적 필요성

 

본 보고서는 희토류(Rare Earth Elements, REE) 시장이 근본적이고 비가역적인 양분화(Bifurcation) 과정을 겪고 있다는 핵심 논제를 제시한다. 지정학적 긴장과 국가 안보의 전략적 필요성에 의해, 중국 외(Ex-China) 공급망이 서방 정부의 강력한 지원 아래 적극적으로 구축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희토류 투자 환경을 단순한 원자재 가격 변동에 대한 투기적 베팅에서, 정부가 지원하는 핵심 산업 챔피언에 대한 장기 전략적 투자로 전환시키고 있다. MP 머티리얼스(MP Materials)와 라이너스 희토류(Lynas Rare Earths)와 같은 기업들은 더 이상 단순한 광산 기업이 아니라, 서방 세계의 핵심 인프라 자산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본 보고서는 주요 기업에 대한 비교 평가와 2030년까지의 장기 전망을 요약하여 제시한다.

제1부: 현대 산업에서 희토류의 근본적 역할

 

1.1 기술의 ‘비타민’: 17개 희토류 원소와 그 고유한 특성 정의

 

희토류는 주기율표상 원자번호 57번부터 71번까지의 란탄 계열 15개 원소와 스칸듐(Sc), 이트륨(Y)을 포함한 총 17개 원소를 지칭한다.1 명칭과는 달리, 이 원소들은 지질학적으로 희귀하지는 않다. 그러나 여러 광물에 미량으로 흩어져 존재하고, 화학적 성질이 서로 매우 유사하여 순수한 상태로 추출하고 분리하는 공정이 극도로 어렵고 환경에 유해하다.2 바로 이 가공 공정의 복잡성이 희토류의 실질적인 ‘희소성’과 전략적 가치의 원천이다.

희토류는 독특한 화학적, 자기적, 발광적, 촉매적 특성을 지녀 소량만 첨가해도 소재의 기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기 때문에, 여러 첨단 기술 분야에서 대체 불가능한 원자재로 사용된다.4 이러한 특성 때문에 희토류는 종종 ‘산업의 비타민’ 또는 ‘산업의 글루탐산나트륨(MSG)’으로 불리는데, 이는 소량이 전체 시스템의 성능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를 내포한다.5 예를 들어, 희토류 원소는 다른 물질에 녹거나 결정 구조에 들어가도 고유의 발광 스펙트럼을 유지하는 성질이 있어 디스플레이에서 선명하고 오래 지속되는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5

 

1.2 가치의 차별화: 경희토류(LREE)와 중희토류(HREE)의 전략적·경제적 차이

 

투자자에게 있어 경희토류와 중희토류의 구분은 매우 중요하다. 이 분류는 원자량에 따라 결정되며, 두 그룹은 매장량, 가격, 전략적 중요성에서 현격한 차이를 보인다.3

  • 경희토류(Light REEs, LREEs): 란타넘(La), 세륨(Ce), 네오디뮴(Nd), 프라세오디뮴(Pr) 등이 포함된다. 이들은 상대적으로 매장량이 풍부하고 채굴이 용이하여 공급량이 많고 가격이 저렴하다.3 주로 석유화학 촉매, 연마제, 일부 자석 등에 사용된다.2 경희토류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란타넘과 같은 일부 원소는 전 세계적으로 공급 과잉 상태에 있기도 하다.12
  • 중희토류(Heavy REEs, HREEs): 디스프로슘(Dy), 터븀(Tb)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은 진정한 공급 병목 현상을 유발하는 원소들이다. 경희토류에 비해 매장량이 훨씬 적고, 특히 중국 남부의 이온 흡착형 광상에서 거의 독점적으로 생산된다.3 중희토류는 고성능 영구자석이 고온에서도 자성을 잃지 않도록 하는 데 필수적인 첨가제 역할을 한다.14 이 때문에 중희토류는 중국의 전략적 무기화에 있어 가장 강력한 지렛대로 평가받는다.

이러한 차이는 희토류 시장이 단일 시장이 아님을 시사한다. ‘희토류에 대한 일반적인 투자’는 결함이 있는 전략일 수 있다. 진정한 전략적 가치는 중희토류에 대한 접근성 또는 분리 기술을 확보하려는 기업에 있으며, 투자 분석은 이 점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공급망의 진짜 ‘질식점(choke point)’은 바로 중희토류에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투자자의 실사는 “이 회사가 희토류 기업인가?”에서 멈추지 않고, “이 회사는 디스프로슘과 터븀에 대해 어떤 전략을 가지고 있는가?”로 나아가야 한다.

 

1.3 적용 분야와 최종 시장: 전기차 모터와 풍력 터빈에서 F-35 전투기까지

 

희토류는 고성장 전략 산업 전반에 걸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그 수요는 현대 경제의 가장 중요한 동력들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 영구자석 (Nd, Pr, Dy, Tb): 희토류 시장 가치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분야이다.6 네오디뮴-철-붕소($NdFeB$) 자석은 기존 자석보다 10배 이상 강력한 자력을 지녀, 제품의 소형화와 고성능화를 가능하게 했다.5 이 자석은 전기차(EV)의 구동 모터, 풍력 발전기의 발전기, 스마트폰의 진동 모터와 스피커,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그리고 미사일 유도 시스템, 레이더 등 다양한 국방 시스템에 필수적으로 사용된다.1
  • 기타 주요 응용 분야: 석유 정제 공정의 촉매(La, Ce), 디스플레이 및 LED의 형광체(Eu, Y, Tb), 광섬유 통신(Er), 특수 합금(Sc)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 소재로 활용된다.1

다음 표는 투자자가 주요 희토류 원소와 그 핵심 응용 분야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정리한 것이다.

표 1: 주요 희토류 원소 및 핵심 응용 분야

 

희토류 원소 분류 핵심 응용 분야
네오디뮴 (Nd) 경희토류 고성능 영구자석 (EV 모터, 풍력 터빈, 전자제품) 2
프라세오디뮴 (Pr) 경희토류 고성능 영구자석, 레이저, 안료 2
디스프로슘 (Dy) 중희토류 영구자석 내열성 향상 첨가제 (고온 환경 모터) 2
터븀 (Tb) 중희토류 영구자석 내열성 향상 첨가제, 형광체, 레이저 2
란타넘 (La) 경희토류 하이브리드차 배터리 (니켈수소전지), 석유화학 촉매 1
세륨 (Ce) 경희토류 자동차 배기가스 촉매, 유리 연마제 1
유로퓸 (Eu) 중희토류 디스플레이용 적색 형광체 1
이트륨 (Y) 비란탄계 디스플레이용 형광체, 초전도체 1

이 표는 추상적인 화학 원소를 실질적인 시장 부문과 연결하여 투자 분석의 기초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전기차 생산 목표 상향 조정 소식은 곧바로 네오디뮴, 프라세오디뮴, 디스프로슘, 터븀의 수요 증가로 해석될 수 있다.

제2부: 희토류 공급의 지정학적 체스판

 

2.1 공급의 만리장성: 중국의 지배력 정량화

 

희토류 시장에서 중국의 지배력은 절대적이다. 통계는 이 현실을 명확히 보여준다. 중국은 전 세계 희토류 채굴의 약 70%를 차지하며, 더욱 중요한 중간 가공 및 정제 단계에서는 무려 90~92%의 시장 점유율을 장악하고 있다.17 이 정제 단계의 독점이야말로 중국이 가진 힘의 핵심이다. 과거 MP 머티리얼스가 미국에서 채굴한 광석조차도 최종 분리를 위해 중국으로 보내져야 했던 사실이 이를 증명한다.

중국 정부의 이러한 전략적 인식은 오래전부터 확고했다. 1992년 덩샤오핑은 “중동에 석유가 있다면, 중국에는 희토류가 있다”고 선언하며 희토류의 전략적 가치를 천명했다.7 이는 단순한 자원 보유를 넘어, 이를 외교적, 경제적 영향력의 도구로 사용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친 것이었다.

표 2: 전 세계 희토류 생산 및 정제 시장 국가별 점유율 (2025년 추정)

국가 채굴 점유율 정제 점유율
중국 ~70% ~90%
미국 ~10% < 1% (2025년 이전)
호주 ~5% 0%
미얀마 ~10% 0% (대부분 중국으로 수출)
기타 ~5% ~10% (주로 말레이시아)

이 표는 중국의 압도적인 지배 구조와 서방 국가들의 취약성을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이는 제3부에서 논의될 서방의 정책적 대응의 시급성을 정당화하며, 중국 외 생산 기업에 대한 투자 논리의 근간을 이룬다.

 

2.2 2011년의 충격에서 2025년의 전략으로: 중국 희토류 수출 통제의 진화

 

2011년은 전 세계가 희토류 공급망의 취약성을 처음으로 깨달은 해였다. 당시 중국은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영유권 분쟁을 빌미로 일본에 대한 희토류 수출을 제한했고, 이로 인해 가격이 폭등하며 글로벌 제조업계에 큰 충격을 주었다.

2025년 현재 중국의 수출 통제 방식은 과거의 무차별적인 쿼터제보다 훨씬 정교하고 전략적으로 진화했다. 중국은 이제 희토류 원소 자체뿐만 아니라, 자석 제조 기술과 같은 특정 기술의 수출을 통제하고, 군사적 목적의 사용을 금지하는 등 목표를 명확히 하고 있다.21 이는 서방의 방위 산업체와 첨단 기술 기업에 대해 예측 불가능성을 높여, 공급망에 대한 불확실성을 증폭시키는 고도로 계산된 ‘무기화’ 전략이다.17

 

2.3 통합과 통제: ‘중국희토그룹’의 출범

 

2021년, 중국 정부는 여러 국영 희토류 기업을 통합하여 거대 독점 기업인 ‘중국희토그룹(China Rare Earth Group)’을 출범시켰다.26 이 조치의 전략적 목표는 명확하다. 첫째, 내부 기업 간의 가격 경쟁을 없애고 생산 쿼터와 가격에 대한 국가의 통제력을 극대화한다. 둘째, 세계 시장에 단일하고 강력한 창구를 내세워 중국의 전략적 지렛대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이다.27 특히 이 통합은 중희토류가 풍부한 남부 지역의 기업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가장 민감한 자원에 대한 통제력을 강화했다.28

그러나 중국의 이러한 ‘자원 무기화’ 전략은 양날의 검이 되어, 역설적으로 경쟁자들에게 투자 명분을 만들어주는 결과를 낳고 있다. 중국의 공격적인 태도는 서방 정부들로 하여금 막대한 규모의 정책적 개입을 유도하는 직접적인 촉매제가 되었다.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의 제정과 국방부(DoD)가 MP 머티리얼스와 라이너스에 직접 자금을 지원하는 것은 중국의 위협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정치적 의지와 자본의 동원이었다. 더욱이, 2024년에는 이러한 전략이 부메랑이 되어 돌아왔다. 중국의 통제 강화가 미얀마, 미국 등 다른 지역의 생산 증가를 자극한 반면, 중국 내부의 경기 둔화로 수요가 위축되면서 희토류 국제가격이 하락했고, 이는 중국 국영 기업들의 실적 악화로 이어졌다.30 이는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중국이 통제의 고삐를 조일수록, 역설적으로 중국 외 공급망에 대한 투자는 위험이 감소하고 가속화된다. 투자자 입장에서 중국발 지정학적 긴장 고조 뉴스는 MP나 라이너스 같은 주식에 긍정적인 촉매제가 될 수 있다. 이는 그들의 전략적 필요성을 서방 정부에 다시 한번 각인시키는 효과를 가지기 때문이다.

제3부: 중국 외 공급망 구축: 정책, 투자, 그리고 전략적 동맹

 

3.1 미국의 대응: 인플레이션 감축법(IRA)과 국방물자생산법(DPA)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은 단순한 기후 변화 대응 법안을 넘어,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안전한 국내 공급망을 구축하기 위한 핵심적인 산업 정책 도구이다.31 IRA의 전기차 세액공제 조항은 이 전략의 핵심을 보여준다. 최대 7,500달러의 세액공제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차량 배터리에 포함된 핵심 광물이 미국 또는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국가에서 채굴 또는 가공되어야 하며, 중국과 같은 ‘해외 우려 기관(Foreign Entities of Concern)’에서 조달된 경우 혜택에서 배제된다.31 이는 사실상 MP 머티리얼스나 향후 미국에 공장을 지을 라이너스와 같은 기업들이 생산하는 원자재를 위한 보호된 프리미엄 시장을 창출하는 효과를 낳는다.

이와 더불어, 미국 정부는 국방물자생산법(DPA)을 발동하여 희토류 부문을 국가 안보 문제로 규정하고 직접적인 재정 지원의 길을 열었다.35 이는 희토류 공급망 확보가 단순한 경제 문제를 넘어 국가의 생존과 직결된 사안임을 인정한 것이다.

 

3.2 펜타곤의 전환: 전략적 투자자이자 핵심 고객으로서의 국방부(DoD)

 

정책적 지원을 넘어, 미국 국방부(DoD)는 직접적인 자본 투입을 통해 시장의 핵심 플레이어로 부상했다. 국방부는 MP 머티리얼스와 라이너스 양사에 수억 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하여, 미국 내 희토류 정제 및 자석 제조 시설 건설을 지원하고 있다.36

이 계약들의 구조는 전통적인 정부 조달과 차원을 달리한다. 장기 구매 계약(offtake agreement)과 심지어 최저 가격 보장(price floor) 조항까지 포함되어 있다.37 이는 투자 계산법을 근본적으로 바꾼다. 원자재 가격 변동성이라는 광산 기업의 가장 큰 리스크를 제거하고, 안정적인 수익 흐름을 보장함으로써, 이들 기업의 재무적 안정성을 획기적으로 높여준다.

 

3.3 미-호주 축: 핵심 동맹의 구축

 

미국은 중국 외 공급망 구축을 위해 자원이 풍부한 핵심 동맹국인 호주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있다.40 이 동맹의 가장 구체적인 결실이 바로 호주 기업인 라이너스가 미국 텍사스에 희토류 처리 시설을 건설하도록 미국 국방부가 자금을 지원한 것이다. 더 나아가 양국은 ‘핵심 광물 안보 파트너십(MSP)’과 같은 다자 협력 체계를 통해 중국에 대응하는 공동 전선을 구축하고 있다.44

이러한 서방 정부의 정책들은 중국의 국가 보조금을 받는 기업들과의 직접적인 가격 경쟁으로부터 중국 외 생산자들을 보호하는 ‘인위적인 경제적 해자(synthetic economic moat)’를 구축하고 있다. 순수한 자유 시장 경쟁 구도에서는 낮은 인건비, 느슨한 환경 규제, 국가 보조금의 혜택을 받는 중국 기업과 서방 기업이 경쟁하기 어렵다.20 그러나 IRA는 7,500달러라는 강력한 재정적 인센티브를 통해 자동차 제조사들이 의도적으로 중국산 원자재를 피하고 MP나 라이너스의 제품을 구매하도록 유도한다. 이는 자유 시장이 아니라, 동맹국 내 생산을 장려하기 위해 설계된 ‘관리된 시장’이다. 국방부의 가격 보장 제도는 한 걸음 더 나아가, 중국이 세계 가격을 조작하더라도 최소한의 수익성을 보장해준다. 따라서 MP와 라이너스에 대한 투자 논리는 그들의 운영 효율성이나 광맥의 품질을 넘어선다. 이들은 미국 산업 및 국가 안보 정책의 선택된 도구로서, 정부가 만들어준 강력하고 지속 가능한 경쟁 우위를 점하고 있다.

제4부: 주요 상장 희토류 기업 분석

 

4.1 MP 머티리얼스 (NYSE: MP): 미국의 희토류 챔피언

 

  • ‘광산에서 자석까지(Mine-to-Magnet)’ 전략: MP 머티리얼스는 중국에 대한 수직적 의존성을 끊기 위해 3단계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1단계(완료)는 캘리포니아의 마운틴 패스(Mountain Pass) 광산을 재가동하여 희토류 정광을 생산하는 것이었다. 2단계(진행 중)는 현장에서 직접 정광을 처리하여 네오디뮴-프라세오디뮴(NdPr) 산화물과 같은 분리된 희토류를 생산하는 것이다. 마지막 3단계(진행 중)는 텍사스 포트워스에 위치한 ‘인디펜던스(Independence)’ 시설을 통해 금속, 합금, 영구자석 생산으로 수직 계열화를 완성하는 것이다.45 이 전략은 전체 가치 사슬에서 부가가치를 확보하고 중국 정제소에 대한 의존을 종식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25
  • 2025년 운영 및 재무 분석: 2025년 2분기, MP 머티리얼스는 NdPr 산화물 생산량이 전년 동기 대비 119% 증가한 597톤에 달하는 등 기록적인 생산 실적을 달성했으며, 매출은 84% 증가한 5,740만 달러를 기록했다.47 이러한 성장은 분리 제품 생산으로의 전환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회사는 20억 달러에 가까운 현금 보유고를 바탕으로 견고한 재무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36 주가는 지정학적 긴장 고조와 미 정부의 지원에 힘입어 연초 대비 370% 급등했으며, 애널리스트들은 평균 목표 주가를 73.28달러로 제시하고 있다.36
  • 전략적 계약의 영향: 미 국방부와의 파트너십은 이 회사의 투자 매력도를 극적으로 높였다. 국방부는 4억 달러 규모의 주식 매입을 통해 주요 주주가 되었으며, 10년간의 NdPr 가격 하한선을 설정하고 장기 자석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36 이는 수익의 가시성을 확보하고 3단계 확장에 필요한 막대한 자본 지출의 위험을 줄여준다. 또한, 애플(Apple)과의 5억 달러 규모 자석 공급 계약은 선급금 지급을 통해 인디펜던스 시설 확장을 지원하는 등, 강력한 상업적 수요를 입증했다.36
  • 리스크 프로필: 가장 큰 리스크는 실행(execution)에 있다. 수십 년 만에 미국에서 처음으로 복잡한 자석 제조 공정을 상업적 규모로 확대하는 데에는 기술적, 시간적 불확실성이 따른다.37 또한, 마운틴 패스 광산은 주로 경희토류 매장지라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 이는 고성능 자석 제조에 필수적인 중희토류(Dy, Tb)를 외부 공급원이나 새로운 탐사를 통해 확보해야 함을 의미한다.37

 

4.2 라이너스 희토류 (ASX: LYC): 확고한 글로벌 대안

 

  • 운영 분석: 라이너스는 중국을 제외하고 분리된 희토류를 대규모로 생산하는 유일한 기업으로, 확고한 시장 지위를 가지고 있다. 호주 마운트 웰드(Mt Weld) 광산에서 고품위 원광을 채굴하여, 말레이시아 콴탄(Kuantan)에 위치한 최첨단 분리 시설에서 처리한다.
  • 텍사스 프로젝트: 라이너스의 미래 성장 전략의 핵심은 미국 텍사스 시드리프트(Seadrift)에 건설 중인 신규 처리 시설이다.50 이 공장은 미 국방부의 공동 자금 지원(약 2억 5,800만 달러)을 받아 건설 중이며, 경희토류뿐만 아니라 결정적으로 중요한 중희토류를 분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38 완공 시, 라이너스는 미국 국방 및 산업계에 디스프로슘과 터븀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최초의 대규모 공급원이 될 것이다. 그러나 이 프로젝트는 예상치 못한 지반 문제와 폐수 처리 시스템 강화 등으로 인해 당초 4억 달러였던 예산이 5억 7,500만 달러로 증가하는 등 상당한 비용 초과와 도전 과제에 직면해 있다.52
  • 재무 성과 및 가치 평가: 라이너스는 2022년과 2023년에 걸쳐 견조한 매출과 순이익을 기록했으나, 2024년과 2025년에는 희토류 가격 하락으로 인해 실적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53 주가는 52주 변동폭이 6.16달러에서 21.96달러로 큰 변동성을 보였으며, 2025년 10월 현재 약 19~20달러 선에서 거래되고 있다.54
  • 리스크 프로필: 주요 리스크로는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저준위 방사성 폐기물에 대한 말레이시아 정부의 정치적 압력, 텍사스 시설의 건설 및 인허가 지연 리스크 52, 그리고 대규모 확장 계획에 따른 자본 집약성 등이 있다.

표 3: MP 머티리얼스 vs. 라이너스 희토류 비교 재무 요약 (2025년 3분기 기준)

 

지표 MP 머티리얼스 (MP) 라이너스 희토류 (LYC)
시가총액 ~131억 USD 55 ~125억 AUD (~83억 USD) 56
2025년 2분기 매출 5,740만 USD 47 (반기) 2억 3,160만 AUD (~1억 5,400만 USD) 53
EBITDA (조정) -1,250만 USD 47 (반기) 3,090만 AUD (~2,050만 USD) 53
부채 비율 93.49% 57 8.59% 53
주가수익비율 (PER) N/A (적자) 55 1,695x (변동성 큼) 53

이들 두 기업은 단기적으로 직접적인 경쟁 관계라기보다는, 초기 단계에 있는 서방 희토류 생태계의 상호 보완적인 기둥으로 볼 수 있다. MP 머티리얼스는 핵심 자석 원료인 NdPr의 안정적인 미국 내 공급을 책임지고, 라이너스는 희소성이 높은 핵심 첨가제인 Dy, Tb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MP의 마운틴 패스 광산은 경희토류 중심인 반면, 고성능 자석은 중희토류를 필요로 한다.14 라이너스의 텍사스 공장은 바로 이 중희토류를 분리하기 위해 국방부의 자금 지원을 받고 있다.38 따라서 미래에는 MP의 텍사스 자석 공장이 최고 사양의 자석을 생산하기 위해 라이너스의 텍사스 분리 공장에서 중희토류를 조달하는 시나리오가 매우 유력하다. 이는 ‘MP 대 라이너스’라는 경쟁 구도에서 벗어나, ‘중국 외 전체 가치 사슬을 소유하기 위한 포트폴리오’라는 투자 관점으로의 전환을 요구한다.

제5부: 미래 수요 예측: 전기차와 신재생에너지 혁명

 

5.1 성장의 엔진: 글로벌 전기차 시장의 희토류 수요 예측

 

전기차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은 희토류 수요를 견인하는 가장 강력한 동력이다. 중국은 세계 최대 전기차 시장으로, 2030년까지 연평균 17% 이상의 성장률을 보이며 시장 규모가 7,88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58 전 세계적으로도 2030년까지 전기차 판매량은 3,800만 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 중 중국이 45%를 차지할 것이다.60

이러한 전기차 시장의 성장은 희토류 수요와 직결된다. 전기차 모터는 희토류 자석 수요의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원천으로, 관련 희토류 수요는 2023년 28킬로톤(kt)에서 2024년 37kt, 2025년에는 43kt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61 현재 판매되는 전기차의 86% 이상이 희토류를 사용하는 영구자석 동기 모터(PMSM)를 채택하고 있어, 전기차 판매량 증가는 곧바로 희토류 수요 증가로 이어진다.61

 

5.2 바람의 힘: 신재생에너지 확대에서 희토류의 역할

 

풍력 발전, 특히 해상 풍력 발전의 확대 역시 희토류 수요를 증대시키는 주요 요인이다. 전 세계 풍력 발전 시장은 2030년까지 연평균 12%의 성장률을 보이며 시장 규모가 2,620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63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30년까지 육상 풍력 설비는 거의 두 배, 해상 풍력 설비는 네 배 가까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한다.64

특히 대형 해상 풍력 터빈에 선호되는 직접 구동 방식(direct-drive) 영구자석 발전기는 신뢰성과 효율성이 높아 희토류를 집약적으로 사용한다. 일반적인 3MW급 풍력 터빈 한 기에는 약 2톤의 희토류가 필요하다.65

 

5.3 Nd, Pr, Dy, Tb 수요 정량화

 

전기차와 풍력 터빈 시장의 성장은 네 가지 핵심 자석용 희토류(네오디뮴, 프라세오디뮴, 디스프로슘, 터븀)의 수요를 기하급수적으로 증가시킬 것이다.66 IEA는 2040년까지 자석용 희토류 수요가 현재보다 50~60%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66

표 4: 핵심 자석용 희토류 수요 전망 (2025-2035년)

최종 사용 분야 2025년 수요 (추정, kt) 2035년 수요 (전망, kt) 주요 희토류
전기차 모터 43 95-110 Nd, Pr, Dy, Tb
풍력 터빈 15 35-45 Nd, Pr, Dy
국방 및 항공우주 5 8-10 Nd, Sm, Dy, Tb
기타 전자제품 20 25-30 Nd, Pr
총계 83 163-195

이 표는 MP 머티리얼스와 라이너스가 마주한 시장 기회의 규모를 정량적으로 보여준다. 그들이 생산하는 NdPr, Dy, Tb에 대한 수요가 향후 10년간 두 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공급 부족과 가격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이는 거시적인 에너지 전환 스토리를 기업의 미시적 펀더멘털과 직접 연결시켜준다.

제6부: 기술적 순풍과 역풍: 자석 기술의 미래

 

6.1 모터 논쟁: 영구자석 모터(PMSM)가 전기차 시장을 지배하는 이유

 

희토류 수요의 미래는 전기차 모터 기술의 향방에 달려있다. 현재 시장은 희토류를 사용하는 영구자석 동기 모터(PMSM)와 희토류를 사용하지 않는 AC 유도 모터(ACIM) 등이 경쟁하고 있다.62

기술적 비교 분석 결과, PMSM은 뚜렷한 우위를 점하고 있다. PMSM은 ACIM에 비해 에너지 효율이 더 높다(테슬라 모델 3의 PMSM은 97% 효율, 모델 S의 ACIM은 93% 효율).70 또한, 동일한 출력을 내면서도 더 작고 가볍게 만들 수 있어 출력 밀도가 우수하다.69 전기차에서 높은 효율은 곧 더 긴 주행거리로 직결되며, 이는 소비자에게 가장 중요한 구매 결정 요인 중 하나이다. 이러한 성능상의 이점 덕분에, 일부 유럽 제조사들이 희토류 의존도를 피하기 위해 유도 모터 등을 채택했음에도 불구하고, 전체 전기차 시장의 75~86%는 PMSM을 사용하고 있다.61

 

6.2 대안을 향한 탐색: 희토류 프리(REE-Free) 자석의 기술 준비 수준(TRL) 평가

 

희토류 공급망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해 망간-비스무트(MnBi)나 기타 신소재 합금을 기반으로 한 희토류 프리 자석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71

그러나 이러한 대안 기술들의 현재 기술 준비 수준(TRL)은 아직 상용화 단계에 이르지 못했다. 실험실 수준에서는 유망한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지만, 네오디뮴 자석의 성능(특히 에너지 밀도)을 따라잡고, 경쟁력 있는 비용으로 대량 생산하는 데에는 상당한 기술적 장벽이 존재한다.71 현재 개발된 희토류 프리 자석들은 고성능 전기차 모터를 전면 대체하기보다는, 성능 요구치가 낮은 특정 산업용 펌프 모터나 “틈새 시장”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된다.71

 

6.3 혁신 대 현상 유지: 시장 점유율 전망

 

결론적으로, 희토류 프리 자석에 대한 연구개발은 공급망 리스크를 완화하기 위한 중요한 보험 역할을 하겠지만, PMSM은 확고한 성능 우위를 바탕으로 적어도 2030년까지 고성장하는 전기차 및 풍력 발전 분야에서 지배적인 모터 기술로 남을 것이다. 이 기간 동안 기술적 대체에 따른 희토류 수요 감소 리스크는 낮거나 중간 수준으로 평가된다. 기술 개발의 초점은 희토류를 완전히 제거하기보다는, 자석에 사용되는 고가의 중희토류(Dy, Tb) 사용량을 줄이는 ‘절약(thrifting)’ 기술에 더 집중될 것이다.

제7부: 종합 분석 및 2025년 이후 시장 전망

 

7.1 양분화된 시장 논제: 가격 및 공급 역학 전망

 

본 보고서의 모든 분석을 종합하면, 향후 희토류 시장은 두 개의 뚜렷한 시장으로 양분될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한다. 하나는 중국 중심의 ‘중국 영향권(China-sphere)’ 시장이고, 다른 하나는 서방 동맹국 중심의 ‘동맹 영향권(Allied-sphere)’ 시장이다.

MP 머티리얼스, 라이너스 등이 공급하는 동맹 영향권 시장의 희토류는 단순한 시장 가격 이상의 가치를 지니게 될 것이다. 공급의 안정성, 투명한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기준, 그리고 IRA와 같은 정부 인센티브 수혜 자격 등으로 인해 지속적인 ‘지정학적 프리미엄(geopolitical premium)’이 붙어 거래될 가능성이 높다. 이 프리미엄은 단순한 시장 펀더멘털이 아닌 정책에 의해 유지되므로, 중국 외 생산 기업에 투자하는 투자자들에게는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가격 환경을 제공할 것이다.

 

7.2 투자 권고: 비교 평가

 

제4부의 기업 분석과 거시적 시장 환경을 바탕으로, MP 머티리얼스와 라이너스 희토류에 대해 다음과 같은 비교 평가를 제시한다.

  • MP 머티리얼스 (MP Materials): ‘시장수익률 상회(Outperform)’ 등급. 고위험 고수익(Higher Risk/Higher Reward) 투자에 해당한다. 투자 논리의 핵심은 야심 찬 ‘광산에서 자석까지’ 수직 계열화 전략의 성공적인 실행에 있다. 주요 투자 촉매제(catalyst)는 텍사스 인디펜던스 시설의 성공적인 상업 가동 개시와 안정적인 중희토류 공급원 확보다.
  • 라이너스 희토류 (Lynas Rare Earths): ‘시장수익률 상회(Outperform)’ 등급. 저위험 중수익(Lower Risk/Moderate Reward) 투자에 해당한다. 투자 논리는 확립된 생산 능력, 독보적인 중희토류 처리 기술, 그리고 유일한 중국 외 대규모 생산자라는 전략적 위치에 기반한다. 주요 투자 촉매제는 텍사스 시설의 예산 내 성공적인 완공 및 가동이다.

 

7.3 장기 전망: 투자자를 위한 핵심 관찰 지표 (2025-2030년)

 

결론적으로, 투자자들은 향후 다음의 핵심 지표와 사건들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한다.

  1. 생산 및 시운전 업데이트: MP와 라이너스의 텍사스 시설에서 발표되는 분기별 생산량 및 시운전 진행 상황 보고.
  2. 미국 정부의 추가 지원: 국방물자생산법(DPA)에 따른 신규 자금 지원 또는 추가적인 장기 구매 계약 체결 여부.
  3. 중국의 수출 통제 정책: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 정책 변화와 이것이 글로벌 가격에 미치는 영향.
  4. 주요 자동차 제조사의 동향: 주요 자동차 제조사들의 모터 기술 선택 및 핵심 광물 조달 전략 관련 발표.
  5. 기술 및 자원 개발: 중희토류 재활용 기술의 상용화 또는 중국 외 지역에서의 새로운 중희토류 광맥 발견 소식.

Works cited

  1. 첨단 산업의 핵심적인 존재, 희토류 – 교육부 공식 블로그,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if-blog.tistory.com/5913
  2. 희토류,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money2.daishin.com/PDF/Out/intranet_data/Product/ResearchCenter/Report/2023/09/47864_23_RareEarthElement_fullreport_final11.pdf
  3. 희토류 원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ko.wikipedia.org/wiki/%ED%9D%AC%ED%86%A0%EB%A5%98_%EC%9B%90%EC%86%8C
  4. 희토류 > 북한지하자원넷,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irenk.net/?menuno=126
  5. 희토류의 특이한 능력 – K-공감,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gonggam.korea.kr/newsContentView.es?mid=a10205000000§ion_id=NCCD_PUBLISH&content=NC002&code_cd=0105000000&news_id=c0401c8a-7e47-4bea-9155-3a4dd7248ba4
  6. 우리나라와 주요국의 희토류 공급망 현황 및 시사점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www.kigam.re.kr/boardDownload.es?bid=0027&list_no=51285&seq=1
  7. 17가지 희토류 용도 목록 – 지식,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ko.mana-metal.com/info/list-of-17-rare-earth-uses-79485245.html
  8. 17가지 희토류 용도 목록 – 지식,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ko.mana-metal.com/info/list-of-17-rare-earth-uses-79485243.html
  9. 첨단산업의 비타민, 희토류 백과사전 – LG케미토피아,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blog.lgchem.com/2015/03/rare-earth-elements/
  10. 탄소중립 시대에 부상하는 중국 희토류산업의 발전 현황과 전망,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csf.kiep.go.kr/issueInfoView.es?article_id=43643&mid=a20200000000&board_id=4
  11. ko.wikipedia.org,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ko.wikipedia.org/wiki/%ED%9D%AC%ED%86%A0%EB%A5%98_%EC%9B%90%EC%86%8C#:~:text=%EA%B0%80%EB%B2%BC%EC%9A%B4%20%ED%9D%AC%ED%86%A0%EB%A5%98(%EA%B2%BD%ED%9D%AC%ED%86%A0%EB%A5%98)%EB%8A%94,%EB%93%A4%EB%A1%9C%20%EA%B5%AC%EC%84%B1%EB%90%98%EC%96%B4%20%EC%9E%88%EB%8B%A4.
  12. [기고] 중(重)희토류 없인 한국 제조업 위기 빠질 수 있다 – 에너지신문,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www.energ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0887
  13. 트럼프 아킬레스건이라는 ‘희토류’… 여기 투자하는 세 가지 법칙 – 조선비즈,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biz.chosun.com/stock/stock_general/2025/10/14/4BFBD7IKINHXHIAZBCTVZDAQ4M/
  14. 토요타, 희토류 사용을 줄인 전기모터용 자석 개발 – AEM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매거진),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www.autoelectronics.co.kr/article/articleView.asp?idx=2672
  15. 美日 희토류 찾아 뛰는데 손 놓은 한국…K방산 속탄다 – 중앙일보,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70121
  16. 네오디뮴 자석 – 나무위키,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namu.wiki/w/%EB%84%A4%EC%98%A4%EB%94%94%EB%AE%B4%20%EC%9E%90%EC%84%9D
  17. BBC”중국 희토류 수출제한, 미국 방산업에 상당한 영향” – CNews,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www.thecommodities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9084
  18. 산화 테르븀,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kr.qdxgy.com/product/Terbium_Oxide-ko.html
  19. ‘첨단산업의 비타민’ 희토류, 中 글로벌 공급망의 핵심 고리 – 기후에너지경제,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www.efn.co.kr/news/articleView.html?idxno=849
  20. 中이 독점한 희토류…무기화 땐 美 첨단·방위산업 단기 타격 – 한국경제,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www.hankyung.com/article/2019060995881
  21. “방산 큰일났다” 중국 희토류 수출 통제에 ‘한국 방산’에 미칠 영향은? | 밀리터리리뷰 – Daum,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v.daum.net/v/XIPbS43Iig
  22. [이슈] 중국, 희토류 수출통제 한층 강화…정상회담 앞둔 압박/2025년 10월 9일(목)/KBS,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www.youtube.com/watch?v=LxjnYu-_2SU
  23. 2025 – 중국 진출전략,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grant-documents.thevc.kr/269654_(%EC%B0%B8%EA%B3%A0%EC%9A%A9)%2BKOTRA%2B2025%2B%EC%A4%91%EA%B5%AD%2B%EC%A7%84%EC%B6%9C%EC%A0%84%EB%9E%B5.pdf
  24. ’21세기 원유’ 제2희토류 쇼크 [스페셜리포트] – ZUM 뉴스,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m.news.zum.com/articles/101633491/21%EC%84%B8%EA%B8%B0-%EC%9B%90%EC%9C%A0-%EC%A0%9C2%ED%9D%AC%ED%86%A0%EB%A5%98-%EC%87%BC%ED%81%AC-%EC%8A%A4%ED%8E%98%EC%85%9C%EB%A6%AC%ED%8F%AC%ED%8A%B8?
  25. 주요국 희토류 공급망 검토 G7 정상회의 경제안보 관련 내용 요약 및 평가 – 외교부,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www.mofa.go.kr/www/brd/m_26799/down.do?brd_id=100863&seq=369054&data_tp=A&file_seq=1
  26. 중국, 국영기업 ‘희토그룹’ 정식 출범… 세계 최대 규모 – 한국무역협회,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www.kita.net/cmmrcInfo/cmmrcNews/cmmrcNews/cmmrcNewsDetail.do?pageIndex=1&sSiteid=1&nIndex=%2066406
  27. 中, 세계 최대 희토류 국유 기업 만든다…”무기화 경고” / YTN – YouTube,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www.youtube.com/watch?v=RDVxNCO3Eyc
  28. 중국, 세계 희토류시장 영향력 확대 위해 대형 국유기업 설립 예정,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www.keei.re.kr/boardDownload.es?bid=0014&list_no=87649&seq=1
  29. [해외토픽] 중국 희토류 국유회사 ‘중국희토집단’ 설립 – 페로타임즈(FerroTimes),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www.ferro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6788
  30. 中, 희토류 국유기업 매출 폭망…’자원 무기화’가 제 발등 찍었다 – 조선일보,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www.chosun.com/international/china/2024/05/05/A35PFESCXVDSHGBL7FDQX7IGAE/
  31. 美 IRA 시행 후 1년 반 경과, 평가와 정책과제 – 국회입법조사처,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www.nars.go.kr/fileDownload2.do?doc_id=1Ov8wh-fbjJ&fileName=(%EC%9D%B4%EC%8A%88%EC%99%80%EB%85%BC%EC%A0%90%202215%ED%98%B8-20240319)%E7%BE%8E%20IRA%20%EC%8B%9C%ED%96%89%20%ED%9B%84%201%EB%85%84%20%EB%B0%98%20%EA%B2%BD%EA%B3%BC%EF%BC%8C%20%ED%8F%89%EA%B0%80%EC%99%80%20%EC%A0%95%EC%B1%85%EA%B3%BC%EC%A0%9C%20-%EC%A0%84%EA%B8%B0%EC%9E%90%EB%8F%99%EC%B0%A8%EF%BC%8C%20%EB%B0%B0%ED%84%B0%EB%A6%AC%EB%A5%BC%20%EC%A4%91%EC%8B%AC%EC%9C%BC%EB%A1%9C-.pdf&timeStamp=1710817936.761508
  32.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의 의미와 시사점 – 세종연구소,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sejong.org/web/boad/1/egofiledn.php?conf_seq=1&bd_seq=6773&file_seq=19011
  33. 미국의 新 공급망 재편 전략과 IRA 전기동력차 보조금 규정 – 한국무역협회,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kita.net/board/pressData/fileDownload.do;JSESSIONID_KITA=1AE47609C0B933CBF67B7787EF6F070A.Hyper?no=FA2C3901BAD38E67166F0DF9FD0ADB24&seq=2
  34. 미국 핵심광물 정책 동향 (日 JOGMEC, 11.6) – 일본 에너지,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www.kiat.or.kr/commonfile/fileidDownLoad.do?file_id=F1F6CCDAE07547F9B900AAC1F5BDE3D3
  35. Rare Earth Permanent Magnets – Department of Energy,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www.energy.gov/sites/default/files/2024-12/Neodymium%2520Magnets%2520Supply%2520Chain%2520Report%2520-%2520Final%5B1%5D.pdf
  36. What’s Happening With MP Materials Stock? – Trefis,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www.trefis.com/stock/mp/articles/576107/whats-happening-with-mp-materials-stock/2025-09-26
  37. MP Materials Deal Marks a Significant Shift in US Rare Earths Policy,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www.energypolicy.columbia.edu/mp-materials-deal-marks-a-significant-shift-in-us-rare-earths-policy/
  38. Lynas signs updated contract with US govt for Texas facility – MINING.COM,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www.mining.com/web/lynas-rare-earths-signs-updated-contract-with-us-govt-for-texas-facility/
  39. US Project Updates – Lynas Rare Earths,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lynasrareearths.com/us-project-updates/page/2/
  40. “희토류 1년 뒤엔 차고 넘칠 것”…트럼프, 호주와 ‘희토류 동맹’ 맞불,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www.mk.co.kr/news/world/11447112
  41. 美, 中에 맞서 호주와 ‘희토류 동맹’… 트럼프 “1년 후면 넘쳐날 것”,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www.mk.co.kr/news/world/11447491
  42. 희토류 앞세운 중국 기습공격에…미국, 호주와 ‘자원동맹’ 맺고 반격,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www.mk.co.kr/news/world/11447698
  43. 中 희토류 기습당한 트럼프, 호주 손잡으며 공급선 다변화,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www.yna.co.kr/view/AKR20251021007400071
  44. 中의 ‘희토류 무기화’ 맞서는 트럼프… 호주·일본 손잡고 같이 간다,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www.chosun.com/international/us/2025/10/21/DD3OSM2TYFAEFDUD4X3BT5UVPA/
  45. Independence – MP Materials,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mpmaterials.com/independence
  46. MP Materials Restores U.S. Rare Earth Magnet Production,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investors.mpmaterials.com/investor-news/news-details/2025/MP-Materials-Restores-U.S.-Rare-Earth-Magnet-Production/default.aspx
  47. MP Materials Reports Second Quarter 2025 Results,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investors.mpmaterials.com/investor-news/news-details/2025/MP-Materials-Reports-Second-Quarter-2025-Results/default.aspx
  48. MP – 엠피머티리얼즈(주) (NYSE): 주가 및 뉴스 – Fintel,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fintel.io/ko/s/us/mp
  49. MP Materials narrows loss on record rare earth output – Mining and Minerals Today,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m-mtoday.com/news/mp-materials-narrows-loss-on-record-rare-earth-output/
  50. U.S Project Update – Lynas Rare Earths,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lynasrareearths.com/u-s-project-update/
  51. US Project Updates – Lynas Rare Earths,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lynasrareearths.com/us-project-updates/
  52. Lynas Rare Earths: US Aid for Texas Refinery Amid Challenges – Discovery Alert,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discoveryalert.com.au/news/lynas-rare-earths-texas-refinery-2025-us-project/
  53. Lynas Rare Earths Ltd (LYC) 재무 요약 – Investing.com – 인베스팅닷컴,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kr.investing.com/equities/lynas-corp-financial-summary
  54. Lynas Rare Earths Ltd 오늘의 주가 | LYC 실시간 티커 – 인베스팅닷컴,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kr.investing.com/equities/lynas-corp
  55. Mp Materials Corp(MP) 주가 및 뉴스 – Google Finance,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www.google.com/finance/quote/MP:NYSE?hl=ko
  56. Lynas Rare Earths Ltd ADR (LYSDY) 주가, 시세, 뉴스 & 이벤트 – Stock Events,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stockevents.app/kr/stock/LYSDY
  57. MP Materials Corp (MP) 재무 요약 – Investing.com – 인베스팅닷컴,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kr.investing.com/equities/fortress-value-acquisition-corp-financial-summary
  58. China Electric Vehicle Market: Industry Analysis and Forecast (2024-2030),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www.maximizemarketresearch.com/market-report/china-electric-vehicle-market/63300/
  59. China Electric Vehicles Market Size & Industry Report 2030 – Mordor Intelligence,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www.mordorintelligence.com/industry-reports/china-electric-vehicles-ev-market-outlook
  60. Annual New Electric Vehicle Sales 2019, 2025, 2030 – Incorrys,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incorrys.com/technology-data-and-forecasts/electric-vehicles/annual-sales-of-electric-vehicles-in-2030/
  61. Why Rare Earths Are Critical to EV Motors – Elements by Visual Capitalist,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elements.visualcapitalist.com/why-rare-earths-are-critical-to-ev-motors/
  62. Electric Motors for Electric Vehicles 2025-2035: Technologies, Materials, Markets, and Forecasts – IDTechEx,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www.idtechex.com/en/research-report/electric-motors/1031
  63. Wind Power Market Size, Share, Trends, Growth Report 2030 – Market Research Future,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www.marketresearchfuture.com/reports/wind-power-market-1511
  64. Wind – IEA,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www.iea.org/energy-system/renewables/wind
  65. Clean Energy Technologies Require Minerals – Society for Mining, Metallurgy & Exploration,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www.smenet.org/What-We-Do/Technical-Briefings/Meeting-the-U-S-Minerals-and-Metals-Needs-for-Ene
  66. Overview of outlook for key minerals – Global Critical Minerals Outlook 2025 – Analysis – IEA,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www.iea.org/reports/global-critical-minerals-outlook-2025/overview-of-outlook-for-key-minerals
  67. What are the critical minerals for the energy transition – and where can they be found? – The World Economic Forum,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www.weforum.org/stories/2025/05/critical-minerals-energy-transition-supply-chain-challenges/
  68. Forecasting Rare Earth Element Demands for Clean Energy Technologies with the Bass Diffusion Model,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tsapps.nist.gov/publication/get_pdf.cfm?pub_id=956730
  69. Comparison, Induction Vs. PM Motors for EVs – iNetic Traction,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inetictraction.com/comparison-induction-vs-pm-motors-for-evs/
  70. EV-Motors.pdf – International Copper Association,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internationalcopper.org/wp-content/uploads/2020/03/EV-Motors.pdf
  71. RARE EARTH FREE PERMANENT MAGNETS | FP7 | CORDIS | European Commission,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cordis.europa.eu/project/id/280670/reporting
  72. Improving rare-earth-free magnets through microstructure engineering | Ames Laboratory,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www.ameslab.gov/news/improving-rare-earth-free-magnets-through-microstructure-engineering
  73. Scientists develop rare earth free magnet for use in industrial motors | Ames Laboratory,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www.ameslab.gov/news/scientists-develop-rare-earth-free-magnet-for-use-in-industrial-motors

Securing America’s future through rare-earth-free magnets | NIST, accessed October 22, 2025, https://www.nist.gov/mgi/mgi-impact-stories/securing-americas-future-through-rare-earth-free-magnets